생각

왜 1인기업이나 영세자영업자는 생산성이 떨어질까?

모난Monan 2020. 11. 28. 00:00   

모든 걸 혼자 해야한다

생산성이 떨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모든 걸 다 혼자 또는 2~3명이서 다 해야하기 때문이다.

1인기업처럼 아주 작은 사업체라도 법적으로 사업자등록을 해서 운영하게 되면 번거로운 일들이 많다.

일단 세무가 가장 번거롭다. 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는 기본이고 흔히 아르바이트라고 말하는 일용근로자를 고용할 경우에는 원천세 신고도 해야 한다. 국민연금과 의료보험 등 4대 보험도 챙겨야 한다. 회사에 취직한다면 이 모든 것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담당 직원이 따로 있으니까. 자기 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다.

누군가를 고용할 경우 노무도 번거롭다. 관련 법령도 공부해야 한다.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니까. 이 세상은 몰랐다고 봐주지 않는다. 몰랐지만 위법을 행했다면 처벌을 받는다. 의도치 않게 모르고 위법을 행했다고 일용근로자가 사업자를 봐주지 않는다.

 

사업에는 세무와 노무 말고도 해야할 일이 많다

어떤 사업이든 결국은 돈을 벌기 위해 하는 일이다. 돈을 벌지 않는 일을 우리는 사업이라고 하지 않는다.

대부분 사업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생산해서 팔아서 돈을 버는 일이다. 아주 작은 쇼핑몰을 한다면 제품을 파는 것이고, 사진 스튜디오를 한다면 사진 촬영이란 용역, 서비스를 판매하는 것이다. 돈을 벌기 위해서는 기업의 상품(제품 또는 서비스)을 알리는 광고 마케팅 업무를 해야하고, 상품 자체를 생산하는 생산 업무도 해야 한다. 그밖에 청소 등 사업장 유지 관리 업무도 해야 한다. 1인기업이나 영세자영업자는 이 모든 것을 혼자 또는 2~3명이서 해야 한다. 특히 1인기업이라면 당연히 상품 생산 업무에 집중할 수 없다. 생산 업무 이외에 해야할 일이 많으니.

 

분업과 생산성, 1인기업

아담스미스의 자본론 책에는 핀 공장 사례로 분업이 얼마나 생산성을 높여주는지 1장에 나온다.

To take an example, therefore, from a very trifling manufacture, but one in which the division of labour has been very often taken notice of, the trade of a pin-maker: a workman not educated to this business (which the division of labour has rendered a distinct trade), nor acquainted with the use of the machinery employed in it (to the invention of which the same division of labour has probably given occasion), could scarce, perhaps, with his utmost industry, make one pin in a day, and certainly could not make twenty. But in the way in which this business is now carried on, not only the whole work is a peculiar trade, but it is divided into a number of branches, of which the greater part are likewise peculiar trades. One man draws out the wire; another straights it; a third cuts it; a fourth points it; a fifth grinds it at the top for receiving the head; to make the head requires two or three distinct operations; to put it on is a peculiar business; to whiten the pins is another; it is even a trade by itself to put them into the paper; and the important business of making a pin is, in this manner, divided into about eighteen distinct operations, which, in some manufactories, are all performed by distinct hands, though in others the same man will sometimes perform two or three of them. I have seen a small manufactory of this kind, where ten men only were employed, and where some of them consequently performed two or three distinct operations. But though they were very poor, and therefore but indifferently accommodated with the necessary machinery, they could, when they exerted themselves, make among them about twelve pounds of pins in a day. There are in a pound upwards of four thousand pins of a middling size. Those ten persons, therefore, could make among them upwards of forty-eight thousand pins in a day. Each person, therefore, making a tenth part of forty-eight thousand pins, might be considered as making four thousand eight hundred pins in a day. But if they had all wrought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and without any of them having been educated to this peculiar business, they certainly could not each of them have made twenty, perhaps not one pin in a day; that is, certainly, not the two hundred and fortieth, perhaps not the four thousand eight hundredth, part of what they are at present capable of performing, in consequence of a proper division and combination of their different operations.

(출처: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by Adam Smith)

pg3300.epub
0.78MB

혼자하면 20개 핀도 못 만드는데, 분업을 했더니 하루에 4800여개를 만들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1인기업은 혼자 핀을 만드는 것과 같다. 그러니 생산성이 떨어진다. 큰 기업들, 특히 대기업 같은 경우에는 직원 1인당 생산하는 가치가 높다. 그 이유는 분업을 통해 각 직원의 생산성이 극대화되었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을 거 같다.

 

문제는 분업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을 고용해야 한다. 결국 그 고용에 따른 비용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한다. 1인기업이나 영세자영업자는 그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악순환이다.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에 혼자서 하고, 그래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그러니 수익이 늘지 않고, 수익이 늘지 않으니 혼자서 하고...

 

그럼 기업에 들어가면, 취직하면 되는 것 아니냐고 쉽게 말하지만, 많은 영세자영업자나 1인기업을 하는 사람들은 이미 노동시장에 들어가기 힘든 사람들이다. 나이가 되었든 원래 갖고 있던 기술이 시대에 안 맞게 되었든 여러 이유로.

 

중요하지 않은 업무는 외주를 고민

세무처럼 공부를 해도 상품 생산 또는 판매에 도움이 안 되는 업무는 외주를 고민할 필요가 있는 거 같다. 세무까지 직접하면 시간을 많이 뺏기니까. 물론 아예 모르면 안 되겠지만.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를 눌러 주세요. 감사합니다.